hyunhwan
2012. 8. 19. 11:39
랜선의 꼭지가 아래로 향하게 하여 접촉부가 위로 향하는 형태로 놓으면
1 2 3 4 5 6 7 8
백주1 / 주2 / 백녹3 / 청4 / 백청5 / 녹6 / 백갈7 / 갈8
의 순서로 랜선을 찝는다.
크로스케이블을 찍는 경우라면
백녹1 / 녹2 / 백주3 / 청4 / 백청5 / 주6 / 백갈7 / 갈8
의 순서로 랜선을 찝어 주면 된다.
단자함에서는
5 4 1 2 3 6 7 8
백청5 / 청4 / 백주1 / 주2 / 백녹3 / 녹6 / 백갈7 / 갈8
의 순서다.
1 Tx+
2 Tx-
3 Rx+
4 음성전화
5 전화전화
6 Rx-
7 (미사용)
8 (미사용)
이며, 공유기로부터 한 위치(안방, 거실1, 거실2, 침실1, 침실2, 가족실, 부엌 등)의 장소에
2대 이상의 단말기(PC, 스마트TV, 인터넷연결게임기 등)를 사용하는 경우
전화콘센트와 랜포트를 사용하여 최대 4대의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게 연결이 가능하다.
전화 + 3단말기로 사용이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.
이러한 경우
랜선을 Y로 분배하는 것을 하면 되고
1236 과 5478 을 각각 나누어 작업하면 된다.
T+ T- R+ R-
1 2 3 6
5 4 7 8 (을 1 2 3 6 의 랜선 찝는 위치에 대응시키면서 작업하면 된다.)
/// 인터넷서핑하다 긁어온글인데 출처가 어딘지 잘 모르겠음.